맨위로가기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는 1980년 서울 지하철 2호선 개통과 함께 도입된 전동차로, 에어스프링 대차를 도입하고 주요 부품을 국산화한 것이 특징이다. 4량, 6량, 10량 편성으로 운행되었으며,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이후 불연 내장재 교체 사업이 진행되었다. 2005년에 미개조 차량의 운행이 중단되었고, 개조된 차량은 2021년부터 2023년 사이에 운행이 중단되었다. 현재 201편성이 신정차량사업소에 보존되어 있으며, 일부 차량은 대구 시민 안전 테마파크, 중앙소방학교, 베트남 하노이-동당 철도 등에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지하철 2호선 - 당산철교
    당산철교는 서울 지하철 2호선의 한강 횡단 교량으로, 개통 후 안전 문제로 인해 재시공을 거쳐 재개통되었으며 현재는 지속적인 관리와 보수를 통해 운영되고 있다.
  • 서울 지하철 2호선 - 잠실철교
    1977년 착공되어 1979년에 완공된 잠실철교는 도로와 철도 기능을 모두 수행하며 잠실과 서울 도심을 연결하는 교통 허브로서 건설되었다.
  •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 우진산전
    우진산전은 1974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시스템 및 전기차 부품 제조 기업으로, 도시철도 차량, 경전철, 전기버스 등의 기술 개발과 국내외 사업 참여를 통해 성장해왔으며, VVVF 장치, 아폴로 전기버스 등을 생산하고 ISO 인증을 획득하여 품질 및 환경 관리 시스템을 갖추었다.
  •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 철도 차량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중랑구까지 이어지는 총 36.4km의 지하철 노선으로, 2000년 개통 이후 2019년 신내역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 39개의 역을 운영하고 다른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하다.
  •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기본 정보
1세대 273편성
1세대 273편성
재건축된 1세대 256편성
재건축된 1세대 256편성
운영 기간1983년-2023년
제조사Nippon Sharyo(OEM 생산), 현대정공, 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
설계자알 수 없음
조립알 수 없음
주문량알 수 없음
공장알 수 없음
계열알 수 없음
대체알 수 없음
제작 연도1차분: 1980년-1984년
2차분: 1986년
3차분: 1989년-1991년
4차분: 1992년-1994년
운행 시작1983년
개조알 수 없음
폐차 연도알 수 없음
제작 수량알 수 없음
총 제작 차량 수664량
1차분: 248량 (54개 편성)
2차분: 64량 (추가 차량)
3차분: 200량 (13개 편성/추가 차량)
4차분: 152량 (4개 편성/추가 차량)
운행 차량 수0
보존 차량 수11
폐차 차량 수647
이전 모델알 수 없음
후속 모델서울메트로 2000호대 전동차 (2005년 도입분)
편성본선: 10량/편성
성수지선: 4량/편성
신정지선: 6량/편성
도면알 수 없음
코드알 수 없음
차량 번호알 수 없음
수용량알 수 없음
운영 기관서울교통공사
기지신정
노선서울 지하철 2호선
차체알루미늄
열차 길이195 m
차량 길이19.5 m
3.16 m
높이알 수 없음
저상 여부알 수 없음
바닥 높이알 수 없음
승강장 높이알 수 없음
출입구/계단알 수 없음
차량당 8개, 측면당 4개
내부 디자인알 수 없음
차륜 직경알 수 없음
축거알 수 없음
최고 속도110 km/h (설계)
중량알 수 없음
축중알 수 없음
최대 경사알 수 없음
견인MMC-HTB-20R 직병렬 조합 저항기, Melco 전기자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 또는 GEC-Alsthom 전기자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
엔진알 수 없음
엔진 형식알 수 없음
실린더 수알 수 없음
실린더 크기알 수 없음
견인 전동기직류
출력알 수 없음
견인력알 수 없음
변속기알 수 없음
가속도알 수 없음
감속도3.5 km/h/s
(비상시) 4.5 km/h/s
보조 장치알 수 없음
전원 공급알 수 없음
냉난방 장치알 수 없음
전기 시스템1,500 V DC 가공 전차선
집전 방식팬터그래프
UIC 분류알 수 없음
AAR 차륜알 수 없음
구동 차륜알 수 없음
대차알 수 없음
최소 곡선 반경알 수 없음
제동 장치공기 제동
안전 장치ATS (자동 열차 정지 장치)
연결 장치알 수 없음
중련 운전알 수 없음
조명알 수 없음
비고알 수 없음
좌석알 수 없음
차량 종류알 수 없음
상세 정보
동력 방식동력 분산식
전기 방식직류 1,500V 가공 가선 방식
제어 방식직병렬 조합 저항제어 (히타치 MMC-HTB-20R형)
전동기 형식알 수 없음
기어비15:98
차륜 배열알 수 없음
기동 가속도3.0
영업 최고 속도ATS 구간 90
설계 최고 속도110
기관 출력알 수 없음
전동기 출력150
편성 출력3,600 (5400마력)
출력알 수 없음
견인력알 수 없음
용도도시 철도 전용 통근형 전동차
차량 정원알 수 없음
편성 정원알 수 없음
편성 길이알 수 없음
전장알 수 없음
전폭알 수 없음
전고알 수 없음
차량 중량알 수 없음
편성 중량알 수 없음
대차알 수 없음
대차 간 거리알 수 없음
축중알 수 없음
구동 장치직류 직권전동기
MT비4M 2T
보안 장치ATS [수동 운전]
구동 방식WN드라이브
제동 방식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제동
생산량94량
도입 단가알 수 없음

2. 기술적 사양

일본국유철도 201계 전동차 900번대에서 도입된 ND-310형 대차가 적용되었다. 1차 현가장치는 코일스프링, 2차 현가장치는 에어스프링이 적용되었다. 승차율에 따라 에어스프링 압력을 조절해 역행, 제동 연산 시 승차율을 감안해 가산치를 부여하는 응하중 제어가 가능하다. 제동장치는 아날로그 연산 방식 전기지령식 제동을 채용하였다.

대우중공업 제작 차량들은 주전장품을 제외한 거의 대부분 부품이 도입 초기부터 국내 생산되어 약 70~80% 정도의 국산화율을 달성하였다. 대차, 구체, 제동장치 등 기초기술은 일본 라이선스 기술 지원을 받아 한국에서 생산되었다.

초창기 도입된 차량은 보조전원장치로 전동발전기를 사용하였으나, 2022년에 퇴역한 개조차량은 정지형 인버터를 장착했다.

2. 1. 에어스프링 대차 도입

일본국유철도 201계 전동차 900번대에서 도입된 ND-310형 대차가 적용되었다. 1차 현가장치는 코일스프링, 2차 현가장치는 에어스프링이 적용되었다. 승차율에 따라 에어스프링 압력을 조절해 역행, 제동 연산 시 승차율을 감안해 가산치를 부여하는 응하중 제어가 가능하다. 제동장치는 아날로그 연산 방식 전기지령식 제동을 채용하였다.

2. 2. 주요 부품 국산화

대우중공업 제작 차량들은 주전장품을 제외한 거의 대부분 부품이 도입 초기부터 국내 생산되어 약 70~80% 정도의 국산화율을 달성하였다. 대차, 구체, 제동장치 등 기초기술은 일본 라이선스 기술 지원을 받아 한국에서 생산되었다.

2. 3. 과거 편성

초창기 도입된 차량은 보조전원장치로 전동발전기를 사용하였으나, 2022년에 퇴역한 개조차량은 정지형 인버터를 장착했다.

2. 3. 1. 4량 편성

객차번호설치된 전장품
20XXMc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지, 견인전동기(TM))
21XXM' (팬터그래프, 주제어기, 주저항기, 견인전동기(TM))
22XX (구 23XX)M' (팬터그래프, 주제어기, 주저항기, 견인전동기(TM))
23XX (구 25XX)Mc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지, 견인전동기(TM))


2. 3. 2. 6량 편성

Mc영어, M'영어, T영어칸으로 구성된 6량 편성이다. 각 차량번호와 설치된 장치는 다음과 같다.

객차번호설치된 장치
20XXMc영어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지, 견인전동기(TM))
21XXM'영어 (팬터그래프, 주제어기, 주저항기, 견인전동기(TM))
22XX (구 26XX)T영어 (무동력객차)
23XX (구 27XX)T영어 (무동력객차)
24XX (구 23XX)M'영어 (팬터그래프, 주제어기, 주저항기, 견인전동기(TM))
25XXMc영어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지, 견인전동기(TM))


2. 3. 3. 10량 편성

객차번호설치된 전장품
20XXMc (운전실,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견인전동기(TM))
21XXM' (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26XXT (무동력객차), 1986년 신조
27XXT (무동력객차), 1986년 신조
22XXM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1993년 신조'''
24XXM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견인전동기(TM)), 1993년 신조
28XXM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1993년 신조'''
29XXM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견인전동기(TM)), 1993년 신조
23XXM' (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25XXMc (운전실,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기, 견인전동기(TM))


3. 도입 역사

1980년 10월 서울 지하철 2호선 개통과 함께 도입되었다.[1] 초기 도입분은 본선에서 운행되었고, 일부는 1984년 서울 지하철 2호선 완전 개통 이후 성수지선, 1992년 신정지선 개통 이후 해당 지선 차량으로 이적되어 운행되었다.[1]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에 사용된 저항기를 포함한 대부분의 전장품이 채용되었다. 2005년부터 폐차가 시작되어 2007년에 전 차량이 폐차되었고, 남은 차량들은 신정지선과 성수지선에서 운행하다가 2023년 3월 31일을 마지막으로 모두 퇴역하였다.

3. 1. 1차 도입분 (1980년)

1980년 4량 11개 편성(201~211편성)이 도입되었다. 201~208편성은 대우중공업에서 제작되었고, 209~211편성은 일본 차량제조에서 완제품을 수입하여 현대정공 패찰을 붙인 OEM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3. 2. 2차 도입분 (1982년)

1982년 현대정공에서 4량 3개 편성(212~214편성)이 도입되었다. 2005년 258~260편성으로 개번됐다.[1]

3. 3. 3차 도입분 (1986년, 1990년)

1986년 현대정공에서 제작한 무동력차(T) 16량과 1990년에 제작한 무동력차(T) 2량이 서울 지하철 2호선 전 편성 6, 10량화와 함께 증결되었다.[1]

구분도입 연도량수비고
201~208편성1986년16량6량 증결분
209편성1990년2량6량 증결분


3. 4. 4차 도입분 (1993년)

1993년 한진중공업에서 201~205편성(10량 증결분, 총 5편성 20량) 동력차(M)가 제작되었다.[1]

3. 5. 개조저항 (2005년)

현재 중간차로 제작된 일부 차량은 개조 및 재조성되어 신정지선 245~248편성, 성수지선 256편성으로 차호를 부여받아 운행하였다.[1] 1986년 제작된 무동력차(T)는 각각 2005년2008년에 조기 폐차되었으며, 대신 1993년 제작된 GEC 초퍼제어 무동력차(T) 6량으로 대체되었다.[1]

구분대상
신정지선245~248편성 (총 6량 4편성)
성수지선256편성 (총 4량 1편성)


4. 특이 사항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 불연 내장재 교체: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를 계기로 철도차량 내연 기준이 강화되었다. 이에 2005년 로윈에서 1986년 이후 도입된 차량에 대해 내장재를 불연재로 교체하였다. 노선색에 맞춰 내부를 흰색 계열로 꾸미고, 무광택 스테인리스 시트를 설치했다. 다만, 5년 내 폐차 예정이었던 노후 차량은 객실 좌석만 난연재로 바꾸고, 화재경보기와 객실 비상통화장치를 보강했다.[1]
  • 행선 안내게시기: 지선 운행 차량에 LED 전광판을 설치했으나, 이후 LCD 모니터로 교체했다.
  • 측면 행선 LED 작동 중단: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후 에너지 절약을 위해 측면 행선 LED를 제거하고, 흰색 바탕의 서울교통공사 로고를 부착했다. Mc칸에는 흰색 바탕에 '''신도림-까치산''' 글씨가 부착되었다.[1]
  • 출입문 교체: 퇴역한 신정지선 245편성 Mc칸 출입문은 1호선 구 101편성 Tc차량의 출입문으로 교체되었다가, 퇴역 후 원래대로 복구되었다.

4. 1. 불연 내장재 교체 사업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를 계기로 철도차량 내연 기준이 강화되었다. 이에 2005년 로윈에서 1986년 이후 도입된 차량에 대해 내장재를 불연재로 교체하였다. 전체적으로 노선색에 맞춰 내장이 교체되었고, 내부 색상은 흰색 계열을 사용하였으며, 시트는 무광택 스테인리스 시트를 장착하였다. 다만, 사업 추진 기간 중 5년 내 폐차 계획이 수립된 노후 차량은 제외되었으며, 객실 좌석만 난연재 개별 좌석으로 교체되었고, 화재경보기와 객실 비상통화장치 등이 보강되었다.[1]

4. 2. 행선 안내게시기 설비

지선을 운행한 저항제어 전동차는 객실 내에 LED 전광판을 설치하였으나, 이후 LCD 모니터로 교체하였다.

4. 3. 측면 행선 LED 작동 중단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이후 모든 측면 행선 LED를 제거하여 에너지를 절약하고 있으며, 흰색 바탕의 서울교통공사 로고를 부착하였고, Mc칸에는 흰색 바탕에 '''신도림-까치산''' 글씨가 부착되었다.[1] 퇴역한 차량들 중 신정지선 245~248편성은 Mc칸에 흰색 바탕의 '''신도림-까치산''' 글씨가, 성수지선 256편성은 '''신설동-성수''' 글씨가 부착되어 있었다.[1]

4. 4. 출입문 교체

퇴역한 신정지선 245편성 Mc칸 출입문은 1호선 구 101편성 Tc차량의 출입문으로 교체되었다가, 퇴역 후 기존의 출입문으로 교체되었다. 초저항에서 약 8년 동안 사용된 문짝이다.

5. 현황

현재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는 운행되지 않는다. 1980년에 도입된 구 201~211편성은 2005년에, 1982년에 도입된 구 212~214편성은 2007년에 운행이 중단되었다. 2005년에 개조된 245~248편성과 256편성은 2021년부터 2023년 사이에 운행이 중단되었다.

5. 1. 미개조분

旧|구일본어 201~211편성은 1980년에 도입되어 2005년에 운행 중단되었고, 旧|구일본어 212~214편성은 1982년에 도입되어 2007년에 운행 중단되었다.[7]

차호도입 시기운행 중단 시기비고
旧|구일본어 201 편성1980년2005년201편성은 신정차량사업소에 개통 당시의 편성인 4량 편성을 유지하여 보존 중이다.
206~209편성은 245~248편성으로 개번되었으며, 전 차량 일본에서 수입되어 현대정공/대우중공업 패찰만 붙이고 운행하였다.
旧|구일본어 202 편성
旧|구일본어 203 편성
旧|구일본어 204 편성
旧|구일본어 205 편성
旧|구일본어 206 편성
旧|구일본어 207 편성
旧|구일본어 208 편성
旧|구일본어 209 편성
旧|구일본어 210 편성
旧|구일본어 211 편성
旧|구일본어 212 편성1982년2007년旧|구일본어 258~260 편성으로 개번되었다.
2058호 (旧|구일본어 2012호)는 충청소방학교에 방치되어 있다.[7]
旧|구일본어 213 편성
旧|구일본어 214 편성


5. 2. 개조분

2005년에 개조된 245~248편성과 256편성은 2021년에서 2023년 사이에 운행 중단되었다.

차호도입 시기개조 시기운행 중단 시기비고
구 245 편성1990년, 1993년2005년2023년구 209편성 T 객차가 개조되어 편성되었다. 초저항 출입문을 사용했고 퇴역 후 원래 출입문으로 교체되었다.
구 246 편성1993년2005년2021년구 264편성 T 객차가 개조되어 편성되었다. 운전실 배전반 화재로 먼저 폐차되었다.
구 247 편성1993년2005년2023년구 265편성 T 객차가 개조되어 편성되었다.
구 248 편성1993년2005년2023년구 266편성 T 객차가 개조되어 편성되었다.
구 256 편성1993년2005년2021년


6. 보존

신정차량사업소에 201편성(4량)이 운전실 기기가 탈거된 상태로 보존되어 있다.

대구 시민 안전 테마파크에는 1차분 차량 2007(퇴역 전 2046)이 화재 안전 전시물로 보존되어 있다.[1]

중앙소방학교에는 1차분 차량 2012(퇴역 전 2058)가 훈련 차량으로 보존되어 있다.[2]

베트남 하노이-동당 철도에는 2차분 차량 2222, 2223, 2225, 2233, 2333이 푸시 풀 객차로 사용되었다.[3]

서울소방학교에는 3차분 차량 2545(퇴역 전 2906)가 훈련용으로 사용되었다.

경강역에는 3차분 차량 2210, 2310, 2610, 2710, 2744가 현무 리조트의 관광 열차로 보존되어 있다.[4][5]

참조

[1] 웹사이트 Destinations by Region : VisitKorea Destinations by Region Daegu Safety Theme Park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 | Official Korea Tourism Organization https://english.visi[...]
[2] 웹사이트 천안 모 처에 보존중인, 2호선 구 2058호 저항제어 전동차 https://m.blog.naver[...]
[3] 웹사이트 HA LONG BAY TRAVEL EXPERIENCE - VIETNAM’S NATURAL WONDER https://transoceanse[...]
[4] 웹사이트 영화 제작한 현무 엔터프라이즈 유종관 회장, 모래시계 세트장 부지에 현무리조트 오픈 http://sisa-n.com/Vi[...] 2019-10-18
[5] 웹사이트 자연과 문화, 사람이 깃드는 곳 '프리미엄 랜드마크'를 꿈꾼다 https://www.kado.net[...] 2019-10-23
[6] 문서 미쓰비시 MB-3268-A형, 연속 정격출력 150KW, 단자전압 375V, 전류 440A, 정격회전수 1980RPM
[7] 블로그 https://blog.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